공부방에서 초중등 대상으로 하는 이슈스터디,
아이들이 가장 좋아하는 수업이다.
선생님으로서 아이들의 생각의 확장을 목도할 수 있는 엄청난 흥겨움이 있다.
이번 주제 챗 지피티 Chat GPT.
<최종 정리>
우리는 챗GPT를 이해하며,
AI 기술이 지금 어느 수준까지 왔고,
정부, 기업, 개인이 어떻게 반응하고 있는지 살폈다.
=> 이를 어디에 쓰면 좋을지, 위험은 어떻게 대비할지를 생각해 보았다.
/정리/
1. CHAT GPT가 뭐야?
: 오픈AI라는 회사에서 개발한 인공지능과 대화하는 프로그램이야.
2. 원래 있지 않았어? 왜 이슈야?
AI가 발전해서, 이제 거의 글쓰기 문법 수준도 완벽에 가깝고,
사람처럼 말하고, 몇초만에 사람보다 더 영리하게 글을 써.
3. 지금 어떤 상황이야?
: 처음에 인터넷이 등장해서 지금 생활이 완전 변한 것 처럼,
정부와 기업에서는 이것을 어떻게 활용하고 대응할지 연구하고 개발하는 중이야.
주요 거물급 기업들은 AI의 무분별한 개발이 위험하다며 'AI 개발 중단'을 선포하기도 하고,
회사의 정보 유출 우려로 회사의 정보를 담지 말라고 경고 하기도 했어.
4. 뭐가 좋은 거고, 뭐가 나쁜 걸까?
: 우리에게 유익한 점도 많겠지만, 개인정보 유출, 해킹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AI는 스스로 공부하기에(정보를 받아들이기에) 잘못된 정보를 줄 수도 있어.
우린 좋은 것은 이용하되, 계속 주의하며 미리 조심할 필요가 있어.
/챗GPT로 우리가 해 본 것/
1. 2021년 수험생 수를 네이버, 구글에 치니 수는 안나오고 '수험생 할인' 광고가 나옴
BUT, 챗GPT는 정보에 대한 결과를 바로 알려줌
(정확한 수는 알지 못하나, 2021년 고등학생 수를 계산하여 어림수를 알려줌)
2. '초등학교 6학년'이 "화폐전쟁"의 책을 읽고 돈에 대한 개념에 대해 이해할 수 있게 정리해줘. 라고 했더니
SO, 몇 초만에 쉽게 정리해 줌.
3. 28개 질문을 마구잡이로 써 놓고, 영어로 번역해 주라고 하니
SO, 몇 초만에 완벽하게 번역함.
4. 로또 번호 알려줘. 라고 하니,
BUT, 불가능하다고 답변ㅎㅎ
아래는 초등학생 아이들이 직접 조사해 온 내용과 느낀 점이다.
역시 아이들은,
내가 가르치는 것보다
방향을 안내하면
아이들이 스스로 배운다는 것을 더 깨닫게 된다.
/갓챠팸이 알아 온 정보/
1.JG: 챗GPT는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이다.
2.JY: 오픈AI가 개발한 대화형 인공지능 챗봇이고, 강화학습을 사용한다.
3.JG: 개발사는 오픈AI, 서비스는 무료이다.
출시일은 2022년 11월 30일
언어별로 답변이 다르다고 한다 예) 아랍권에서 예수에 대한 농담을 대화하면 챗GPT가 농담을 거부함
4. YG: 출시일 2022년 11월 30일, 서비스 무료 제공
5.HH: 키워드만 던져주면 기사도 대신 써 준다.
6.YH: 챗지피티는 자신이 물어보고 싶은 것을 물어보면 대답해 주는 앱이다. 단점으로는 잘못된 내용을 학습하여 틀린 대답도 많이 나온다.
7.DY : 인공지능 시대의 서막을 알려주며, 챗gpt는 여러 방면에서 생산성을 높인다. 현재 검색엔진 시장은 구글이 압도적인 점유율이지만, 마이크로소프트도 뉴빙을 도입하여 성장 중
8.DY: 유료버전도 있다. 월 20달러이고, 더 빠르다.
9.JH: 훈련된 자연언어 처리모델, 오픈 AI에서 만든 대규모 인공지능 모델. 챗3.5 언어기술을 이용하여 이용자와 실시간으로 대화가 가능한 소프트웨이이다.
(사용법) 회원가입 후 이용, 사용하다가 갑자기 다른 것을 물어보고 싶으면 리셋하게 된다.
(들어본 것) 유튜버들이 챗지피티에서 게임 공략법을 찾아봐, 게임을 해보았더니 성공하는 것이 나와 유명해짐.
10.JH: AI가 직업을 알려주기도 함, 사회나 사용자를 위험에 빠뜨릴 수 있음, 살인, 정치 관련 캠페인, 로비 등 무단 법률행위는 제한됨.
11.JS: 일반(무료) 서비스를 예상하지 않은 일반인들에게 혼란이 예상됨, 변화를 생각해보면 앞으로 변화한다는 설렘과 두려움이 동시에 공존하게 됨
12.MS : 맨 처음 만들었을 때, 여러사람들이 챗gpt에게 야설을 만들어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고 한다.
13.YJ: 개인정보 등 민감한 정보를 챗 gpt에 입력하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갓챠팸 느낀점/
1. JH : 챗봇이 이렇게 발전하고 인간에 도움이 되면, 인간보다(이미 낫지만) 더 나아지지 않을까 생각했다.
2. DY : 챗봇을 시작으로, ai가 움직이게 만들면 인간보다 똑똑해 인간이 위험할 것 같다. 챗봇에 스스로 오류가 생기면 일시정지가 되나 궁금하다.(데이터 기반으로 오류를 스스로 잡아낼 가능성이 있다라고 답변해줌)
3. HH : 로또 번호를 불러달라 하면 어떨지(함께 시도해 보니, ‘예측할 수 없다’ 라는 답변을 줌)
4. DY : 영상에서 챗 gpt를 설명한 교수(’질서너머‘의 저자인 조던피터슨 교수였음)가 오히려 대단해 보였다.
5. JS: 저기에 개인정보를 넣으면 본인과 똑같은 인공지능을 만들 수 있겠다 생각하여 무서웠다.
6. JG: ai가 많이 개발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어 대단하다.
7. YH: 유튜브에서 지피티가 거짓말도 말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챗gpt로 소프트웨어도 만든다는데, 이렇게 개발하면 인류가 멸망하는 정도까지 될까 싶다. 이것이 본격적인 ai 개발의 시작이 될 것같다.
8. YJ: 인공지능이 이미 우리 곁에 있는데, 더욱 발전한다면 이제 좀 무서울 것 같다. 지금도 똑똑하지만 후에 사람을 지배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충격이다. ai에게만 의지하는 시대가 올 것 같다.
9. MS: 챗gpt가 물어보는 정보를 받고, 또 학습해서 발전한다면 정말 똑똑하다.
'ISSUE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중등 ISSUE STUDY. 월트 디즈니와 디즈니월드컴퍼니(Walt Disney) (2) | 2023.06.07 |
---|---|
초중등 ISSUE STUDY. 코카콜라 탄생과 마케팅 비법 (0) | 2023.05.24 |
초중등 ISSUE STUDY. 중앙은행디지털화폐(CBDC) (5) | 2023.05.16 |
초중등 Issue study : Bitcoin과 블록체인 (0) | 2023.05.08 |